절반을 보다 꺼버렸다.
친형은 재밌게 보던 것 같은데 나는 달랐다.
나머지 절반을 보는 시간보다 롤을 하는게 정신 건강에 이롭다는 판단을 내렸던 것이다.
아무래도 형은 비쥬얼적인 것을 많이 보지만
나는 스토리의 개연성과 각본의 완성도를 중요시 했던 것 같다.
사람들이 승리호를 두고 칭찬하는 부분은
주로 우리나라에서 이런 SF영화, 이런 스페이스 오페라 장르가 나왔다는 것에 감격하는 부분이었다.
스페이스 오페라 (Space Opera) 미국에서 연속극을 소프 오페라(Soap Opera) 라고 한다. 아줌마를 대상으로 하는 일일연속극이므로 비누 CF가 자주 들어왔는데, 그래서 Soap Opera라는 이름이 붙었다. 여기서 변형된 단어이며 카우보이가 나오는 서부 활극을 호스 오페라(Horse Opera)라고 하며 우주에서 펼쳐지는 모험과 전쟁을 소재로 하는 우주 활극을 스페이스 오페라(Space Opera)라고 함 |
CG도 조악스럽지 않고 자연스럽다는게 좋았다는 평이 대부분이다.
근데 이 점도 난 모르겠는게, 다른 할리우드 영화(스타워즈, 가오갤 등)을 보던 눈이 있다보니까
승리호를 보면서 CG가 대단하다고 느끼진 못했다.
오히려 '스페이스 오페라 장르를 다루려면 이 정도 CG 안할거면 왜 만드는거야?' 라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이 정도도 안만들고 <디 워>쯤 만들꺼면 대학교 졸업작품으로나 찍지 왜 상업영화를 만드냐고 말하고 싶다.
찾아본 정보에 의하면 승리호의 제작비는 이렇다고 한다. 비교를 위해 다른 영화도 함께 올린다.
승리호 | 인터스텔라 | 스타워즈 : 라스트 제다이 |
240억원 (2000만 달러) | 1850억원 (1억 6500만 달러) | 3550억원 (3억 1700만) |
확실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다른 할리우드 스페이스 오페라 장르와는 차원이 다른 열악한 제작비라는 것.
여담이지만 제작비 더 써서 외국인 배우들 퀄리티를 높였으면 어쨌을까도 싶다.
외국 배우들의 연기를 보며 든 생각은
알바몬에서 일일알바(연기보조)로 당일날 뽑아서 새벽부터 뽑아온 어학원 강사들
대본을 현장에서 외우게 해서 연기를 시킨거 아니냐고 할 정도로 처참했다.............
외국인 배우들 때문에 안그래도 안되는 몰입 더 와장창 깨버렸다.
회사의 회장역으로 나오는 배우가 리처드 아미티지라는 꽤 유명한 배우라고 하더라.
이 사람도 연기 어색하다...
국뽕요소는 모르겠고, 신파도 솔직히 모르겠다.
신파 (新派; 새로운 물갈래) 옛날 연극을 구극, 구파라 하고, 그 이후의 연극을 신극, 신파라고 한다. 구극, 구파는 연극 본래의 성질인 예술성을 중요시한다면, 신극, 신파는 예술성보단 흥미, 흥행 위주의 연극을 짠다. 요즘 신파의 정의는 억지 눈물을 짜내서 억지 감동을 유발하는 행위를 말하며 흔히 관객을 불쾌하게 만드는 요소로 알려졌다. |
내가 중간도 안보고 꺼서 신파가 나오는 부분이 없어서 느끼지 못했나 보다.
차라리 다행이라고 해야할지.....😂😂
신파까지 두 눈으로 봤으면 쌍욕을 하며 껐을 지도 모르니..
어쩌면 감독도 어마어마한 제작비와 한국에서 선보이는 첫 스페이스 오페라 장르라는 중압감을 가지며
흥행을 시켜야하는 입장에 서있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신파, 국뽕코인을 타지 않았을까 싶었다.
최소한의 비용은 건질 수 있겠다는 생각이었을까
아니면 첫 스페이스 오페라 장르를 만들면서 생각해야 할 요소가 너무 많았기 때문에(돈이든 CG든)
관리가 소홀했던 각본팀 탓일까
아니면 그냥 각본팀에 돈을 적게 줘서 퀄리티가 조악했던 걸까.
돈은 사람을 움직이게 하는 원동력이자 가장 효과가 좋은 강화물이니까.
김태리도 사실 캐릭터가 표현하기 좋고 비중이 낮아서 좋게 보였을지도.. (대사는 후졌음, 거의 "자, 선수 입장." 급)
송중기도 잘 하는 배우인 것을 알지만 각본이 망쳤다는 생각이 든다.
진선규는 그냥 스타일링부터 마음에 안들었다. 저 헤어 스타일이 쿨하다고 생각한걸까.
저 헤어스타일 추천한 사람은 여전히 1990년대 사나보다. 지금 2021년인데...
유해진은 모든 영화에서 똑같은 성격을 요구받으니 연기하기 편해서 좋겠다. 약오르네.
아역은 언급할 게 없다. 아이라서 보호하는게 아니고 아역치고 못하는 애들은 한 번도 못봤다.
아역은 입체적이지 않은 평면적인 캐릭터성이 요구되는데 그거 못하면 아역 바꾸면 그만 아닌가.
어차피 아이는 다 이쁘다. 그 친구 아니어도 귀엽고 쓸만한 준비된 아역 널리고 널렸다는 뜻.
이렇게 배우들을 혼자 평가하고 있자니 [연기자가 가진 연기력이 뛰어난 것]과 [완성된 결과]가 전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느낀다.
연기자들도 다 각본으로 움직이는 역할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구나. 메소드 연기라느니 그런 것과 궤가 다름을 느꼈다.
암튼 중요한건 걍 [구리다]는 것
이쯤되면 그냥 내가 영화가 재미가 없으니까 틱틱거리며 이것 저것 태클걸고 싶어지는 것 같다.
bullying하면서 길티 플레져를 즐기는 나. 비정상인가요?
<참고 영상>
'current affai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넷플릭스 <지옥> 후기 (스포O) (0) | 2021.11.20 |
---|---|
<랑종> 후기 (스포 O) (0) | 2021.07.15 |
악동뮤지션 - 인공잔디 (0) | 2021.01.27 |